Economy

청년도약계좌 달라진 혜택 알아보자~! (기여금지원확대/가입문턱완화)

comini 2024. 9. 9. 12:00

안녕하세요. Comini 입니다. 
 
오늘은 여러분들에게 청년도약계좌가 변경된 점에 대해서 소개해드릴려고 왔습니다. 
 
온통청년에 접속해서 청년도약계좌 기여금 지원 확대에 대한 내용을 확인했습니다. 
정부는 목돈 마련에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의 부담을 덜어주고, 더 많은 청년들이 꿈을 향해 도약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함인데요, 어떤 점들이 달라졌는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.
 

온통청년 youthcenter.go.kr

 

청년도약계좌 기여금 지원 확대(9월)
(신청기간 9.3~9.13
)
월 기여금 지원확대 월 최대 2.4만원 -> 월 최대 3.3만원
5년간 최대 지원 금액 확대 144만원 -> 198만원
만기 시 최대 60만원 증가 -> 연 9.54% 일반적금상품에 가입한 효과

 
 
 
1. 기여금 지원 확대: 월 최대 7만 원
 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바로 기여금 지원 확대입니다. 기존에는 월 최대 6만 원까지 정부 기여금을 받을 수 있었지만, 이제는 월 최대 7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. 즉, 매월 70만 원을 납입하면 정부 기여금 7만 원을 더해 총 77만 원을 적립할 수 있는 것이죠! 5년 만기 시 최대 5,000만 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다는 점, 정말 매력적이지 않나요?
 
 
2. 가입 문턱 완화: 총급여 7,500만 원 이하 & 가구소득 중위 180% 이하
 이전에는 총급여 6,000만 원 이하만 가입 가능했지만, 이제는 총급여 7,500만 원 이하까지 가입할 수 있도록 소득 기준이 완화되었습니다. 더 많은 청년들이 청년도약계좌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문턱을 낮춘 것이죠.
 
 
3. 지원 대상 확대: 병역 이행 청년도 OK!
 병역 의무를 이행한 청년들을 위한 희소식도 있습니다. 병역 이행 후 6개월 이내에 가입하면, 병역 이행 기간(최대 6년)을 가입 가능 기간에 추가하여 더 많은 청년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했습니다.
 
 
4. 긴급생계비, 이제 걱정 없이!
 갑작스러운 긴급생계비 필요 시에도 정부 기여금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. 이전에는 퇴직, 사업장 폐업 등 제한적인 사유에서만 정부 기여금 지급이 가능했지만, 이제는 긴급생계비 용도로 중도 인출하더라도 정부 기여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.
 
 
 

청년도약계좌, 어떻게 신청하나요?

청년도약계좌 가입 절차는 생각보다 간단합니다.

  1. 11개 은행 앱에서 비대면 개설: 농협, 신한, 우리, 하나, 기업, 국민, 부산, 광주, 전북, 경남, 대구은행 앱을 통해 편리하게 비대면으로 계좌를 개설할 수 있습니다.
  2. 가입 가능 여부 확인: 은행 앱에서 간단한 정보 입력만으로 가입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 (2주정도 소요)
  3. 서류 제출: 가입이 가능하다면, 필요한 서류를 준비하여 제출하면 됩니다. (소득 확인 증빙서류 등)
  4. 계좌 개설 완료: 서류 심사 후 계좌 개설이 완료되면, 매월 일정 금액을 납입하고 정부 기여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

 

@unsplash

 
 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의 목돈 마련과 자산 형성을 돕는 든든한 지원군입니다.
이번 개선을 통해 더 많은 청년들이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되었으니, 망설이지 말고 지금 바로 가입하여 미래를 위한 투자를 시작해 보세요!